시스템을 디버깅 하다보면 로그를 봐야할 일이 많이 있다. 파이썬이나 C 에서 띄워주는 컴파일/런타임 에러 말고.. 시스템에서 부팅 또는 커널레벨에서의 로그를 봐야 하는 경우가 왕왕 있다. 이 경우 많이 쓰는 두 명령어가 바로 'dmesg' 와 'journalctl' 이다. 그런데 궁금한 점은 이 두 로그를 보는 명령어는 어떤 차이일까? 그리고 어떤 경우에 어떤걸 사용해야 할까? 이번 기회에 한번 정리해보았다. dmesg란?dmesg는 "diagnostic message"의 약자로, 리눅스 커널에서 발생하는 진단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다. 주로 커널에서 하드웨어, 장치 드라이버, 그리고 시스템 부팅 과정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. - 로그의 위치: /var/log/dmesg해당 ..